북한 수해 주민들, ‘한 끼 같은 세 끼 해결’ 속 집단 생활 강요

북한 수해 주민들, ‘한 끼 같은 세 끼 해결’ 속 집단 생활 강요


북한 김정은이 평안북도 수해 주민들이 생활하는 임시천막을 시찰하고 있다. [사진=인터넷캡처]
북한이 수해 피해를 입은 주민들의 생활을 돌봐주고 있다고 노동신문 등 관영 매체를 통해 보도해왔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민들의 생계는 방치된 채 집단 생활만 강요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일 엔케이타임즈 양강도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김형직(후창)군 수해 피해 지역 주민들이 기본적인 위생 시설과 식량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집단 생활을 강요받고 있다. 수해 피해 초기에는 주민들의 생필품과 식량 등을 우선적으로 보장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한 달이 지난 지금, 식량과 생활용품 지원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주민들이 생계를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는 것이다.

김형직군의 한 주민 소식통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8월 20일 경부터는 식량 공급이 거의 중단되다시피 하면서 주민들은 한 끼 분량의 식량으로 하루 세 끼를 해결하고 있다”며 “이러한 실정때문에 모두가 배고품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이 겪는 고통은 비참할 정도”라며 “특히 5세 미만의 아이들이 배고픔을 호소하며 밥을 달라고 떼를 쓰지만, 집단 생활중이라 따로 밥을 해먹일수도 없는 상황이어서 부모들은 눈물을 삼키며 아이들을 달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일부 주민들은 집단 생활을 거부하고 당국이 통제를 피해 본가로 옮겨가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당국은 이를 ‘당에서 다 돌봐주는데 무엇이 부족해서 본가로 가느냐, 배은망덕한 행위를 하면 안된다’며 집단 생활 거처지로 돌아올 것을 강요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수해 피해 지역 주민들이 집단 생활을 벗어나려는 시도를 철저히 차단함으로써  탈북과 체제불만를 억제하고 결속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소식통은 “일부 주민들이 친정이나 시집에서 생활하면 당국의 부담도 줄어들 수 있을 텐데도, 무조건 집단 생활을 강요하고 있다”며 “죄인도 아닌데 매일 아침 인원 점검을 받고, 외출 시에는 반드시 보고를 해야 하니, 누가 이를 좋아하겠느냐”고 지적했다.

이어 “주민들을 집단 생활 속에 묶어 두면 쉽게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지만, 본가로 흩어져 생활하면 감시망에서 벗어나게 된다”며 “집단 생활을 통해 주민들 간의 결속을 강화하고, 수해 피해와 관련된 불만 확산과 주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집단 생활을 집요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인애 통일부 부대변인은 지난달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수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주민들이 하루빠릴 일상으로 돌아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해, 현 남북 관계 상황에도 수해 지원 목적에 한해 현재까지 접수된 단체들의 (북한주민)접촉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