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특별경비 선포하고 평양 봉쇄…지방 차량·주민 줄줄히 귀향

북한, 특별경비 선포하고 평양 봉쇄…지방 차량·주민 줄줄히 귀향


북한 평양시 다락식 아파트. [사진/노동신문]
북한이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1차 회의와 당 창건 79주년(10.10)을 앞두고 지난 5일부터 평양시를 전면 봉쇄한 사실이 뒤늦게 전해졌다.

8일 엔케이타임즈 북한 내부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5일 평양시에 특별경비기간을 선포하고 전면 봉쇄에 돌입했다. 봉쇄 기간은 5일 오후 5시부터 11일 오후 5시까지로, 이 기간에는 공적 업무를 제외한 모든 차량과 인원은 평양 출입이 제한된다. 

지난 7일 개최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1차 회의에 이어 당 창건 79주년을 앞두고 있는 만큼, 내부 보안을 강화하고 행사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로 인해 양강도, 함경북도 등의 북부 지역에서 물자를 싣고 평양으로 진입하려던 차량과 주민들이 10호초소 앞에서 돌아서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지난 5일 함경북도 회령시의 한 주민은 유방암치료를 받기 위해 평양 모 병원으로 출발했다. 그러나 평양시 진입전 10호 초소에서 ‘행사와 관련해 평양에 들어갈 수 없다’는 통보를 받게 됐고, 이에 이 주민은 “중앙병원에서 치료를 받는다는 기쁜 마음으로 평양으로 가고 있었는데 돌아가라니 너무 황당하다”며 억울함을 토로한 것 전해졌다.

이와 관련 소식통은 “평양에서 북한의 회의나 행사가 있을 때 각 조직과 기업소를 통해 주민들에게 미리 통보하면 헛걸음을 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그럼에도 그러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 해마다 헛걸음을 하는 사람들이 계속해서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방에서 평양으로 한 번 가려면 증명서 발급 비용과 교통비 등 많은 비용이 든다”면서 “그런 사람들이 평양을 목전에 두고 돌아서려니 심경이 어떻겠느냐”고 반문했다.

또한 소식통은 “평양에서 국가적 행사가 진행될 때마다 주민들은 상당한 불편을 겪어야 한다”며 “봉쇄때문에 지방에서 곡물이나 채소가 들어오지 못하면 주민들은 2배 이상 오른 가격의 채소를 사먹어야 하는 불편을 항상 겪는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7일 본지는 북한이 사회안정성의 주도하에 전국적인 집중단속과 수색, 숙박검열을 진행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관련기사 : [단독] 북한, 당창건 79주년 앞두고 전국적인 ‘집중단속·수색·숙박검열’ 실시)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