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환율, 1달러당 3만 원 돌파… ‘화폐 교환 소문에 전쟁 준비 지시까지'”

“북한 환율, 1달러당 3만 원 돌파… ‘화폐 교환 소문에 전쟁 준비 지시까지'”


지난해 5월 촬영된 북한 함경북도 회령시 장마당 입구. [사진/엔케이타임즈]
한의 원·달러 환율의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최근 엔케이타임즈가 북한의 원·달러 환율을 조사한 결과 지난 24일 경부터 북한의 전반적 지역에서 1달러당 30,000원 대를 돌파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평양, 사리원, 평성, 함흥지역에서는 1달러($)당 북한 돈 30,800원에 거래되고, 북·중 접경지역인 회령, 혜산, 만포, 신의주에서는 1달러당 29,500원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연초 1달러당 8,000원 대비 3.75배인 275% 상승한 수치로, 올 한 해 계속해서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환율 폭등의 주요 원인으로는 코로나19 이후 국경을 개방하면서 늘어난 수입품 수요와 이에 따른 외화 수요 증가가 꼽힌다.

특히 최근 화폐교환 소문에 이어 지난 10월 전당, 전군에 전쟁준비 지시가 내려지면서 시장의 불안정성을 조성하고 있으며, 이는 환율 상승을 더욱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소식통은 “당국이 법기관의 통제를 벗어난 경제 활동에 대해 안전부와 검찰을 내세워 강경 조치를 취한 것이 돈대(환율) 폭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이 같은 통제는 경제의 불안정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외환 시장에 혼란을 조성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각 지역 거물 환전상과 관련자 검거

이런 가운데, 북한은 최근 각 지역의 거물 환전상과 관련자들의 검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화 유통의 중심에 있는 환전상을 검거함으로써 환율 상승을 부추기는 개인 외환 거래를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달 중순 북한 양강도안전국은 거물 환전상과 관련자 30여 명을 체포한 바 있다.(관련기사 : 양강도안전국, 돈데꼬·물주 30여 명 체포…내주 ‘총살’)

하지만 북한의 이 같은 조치가 환율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북한 경제가 이미 심각한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으며, 외부의 제재와 내부 경제 관리의 실패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소식통은 “최근 돈대 폭등이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주민들의 생활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면서 “그런 만큼, 외환 거래 통제가 실효성 있는 해결책이 될지는 미지수다”라고 전했다.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