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엔케이타임즈 함경북도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 3일부터 회령시와 무산군 등 함경북도 국경지역에 대한 보위부 교방 검열이 시작됐다. 국가보위성의 지시에 따라 진행되는 이번 교방 검열은 내부 정보 유출자들에 대한 색출과 검거를 핵심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특히 북한은 이번 교방 검열을 통해 국경 지역 간부와 주민들을 대상으로 통신, 이동, 경제 활동 등 전방위적인 추적, 감시, 검열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만큼, 이번 교방 검열은 중국 손전화 사용이 가능한 국경 지역에서 시행되며, 외부와의 불법 통화나 거래, 외부 정보 유출자들을 색출하는데 중점을 맞춰 진행되고 있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이다.
실제 회령시에는 양강도 대홍단군 보위부가 맡아 검열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에 파견된 보위원들은 해당 지역에 설치된 전파탐지기와 휴대용 전파탐지기를 이용해 통신 신호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있으며, 동시에 과거 중국 손전화 사용 전과자들의 통신 기록과 최근 동향까지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고 한다.
이로 인해 과거 중국 손전화를 사용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사용중인 주민들은 검열을 피해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친척이나 친구 집으로 긴급히 피신하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소식통은 또 “교방 검열은 매년 실시되는 일이지만, 이번에 검열은 예년보다 더 살벌한 것 같다”면서 “검열 성원들이 숙식지도 비밀에 붙이면서 외부와의 접촉을 철저히 차단한 상태로 활동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국경 지역은 밀수꾼과 돈주, 법관들이 얽혀 돌아가기 때문에 자도 검열이나 단속만으로는 불법 행위를 끊어내기가 쉽지 않은 곳”이라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당국은 타 지역의 보위부를 보내 자도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처리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