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양강도 혜산시 주민들. 사진=인터넷 캡쳐
지나달 중국 당국에 의해 강제 북송된 북한 주민 20여 명이 북송 2일 만에 함경북도와 평안남도에 위치한 교화소(교도소)로 이송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NK타임즈는 지난달 26일 중국 지린성(吉林省)의 장백세관을 통해 북한 주민 20여 명이 강제 북송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관련기사: [단독] 中, 탈북민 20여 명 또 강제 북송…바줄에 묶이어 끌려가)
7일 NK타임즈 양강도 보위부의 한 간부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중국 지린성(吉林省)의 장백세관을 통해 강제 북송된 20여 명의 북한 주민들이 북송 2일 만인 28일에 교화소로 이송됐다.
북한 보위당국은 북송된 주민들의 가족들에게 그들이 북한으로 돌아왔다는 사실이나 교화소로 이송됐다는 사실을 통보하지 않아 해당 가족들은 이러한 상황을 전혀 모르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북한이 지난해 10월, 강제 북송된 주민들의 북송 사실을 그 가족들에게 알렸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당시 북한은 국경 지역 주민들과 국경경비대 군인들에게 탈북민 강제 북송 사실을 알리고 심지어 탈북 방조자 체포작전을 통해 탈북에 공모하거나 방조한 대상들까지 불러들여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국경지역 주민들과 군인들에게 조국(북한)을 배신하면 반드시 그 대가를 치르게 된다며 탈북에 대한 공포감을 조성했던 것이다.
그러나 올해 북한은 이러한 방식에서 벗어나 북송된 주민들이 북송은 물론 교화소로 보냈다는 사실 조차 가족들에게 알리지 않고 철저히 비밀에 붙이고 있다. 강제 북송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주목도가 높아진 만큼 이를 의식한 조치로 풀이된다.
소식통은 “지난해 북송된 사람들은 평균 2개월동안 조사를 받았고, 이 기간에 탈북 동기와 조력자들에 대한 철저한 조사 후에 교화소로 이송됐다”면서 “그러나 올해부터는 기밀 유지를 위해 국내 조사과정을 생략하고 중국에서 진행된 사전 조사 결과에 따라 북송 직후 바로 교화소로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 양강도를 비롯한 북중 국경지역 보위국은 올해 초부터 탈북민들이 구금되어 있는 중국 공안 구금소에 보위원들을 파견해 북송전 사전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미 국무부 줄리터너 북한인권특사는 지난 3월 18일 유엔 인권이사회가 개최한 북한에 관한 상호대화에서 “북한 지도부는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 침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북한 정부를 강력히 비판한 바 있다.